테크 아웃사이드의 블로그

테크 아웃사이드의 블로그

  • 분류 전체보기 N
    • Tech TIP N
  • 홈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테크 아웃사이드의 블로그

컨텐츠 검색

태그

챗봇 오픈소스 챗봇 구축 사례 에지 iot 헬스케어 iot IOT 에지 ai 에지 컴퓨팅 스마트 제조 챗봇 프로젝트 챗봇 유지보수 스마트 시티 챗봇 운영 스마트 팩토리 챗봇 도구 챗봇 ai 챗봇 개인화 스마트 시티 교통 관리 botpress 챗봇 설계 챗봇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의도 분류(1)

  • 챗봇의 의도(Intent) 분류 모델 고도화 과정

    의도 분류의 중요성과 초기 모델의 한계챗봇의 핵심 기능 중 하나는 사용자의 문장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 문장을 의도(Intent)로 분류하는 것이다. 의도 분류는 고객이 어떤 목표로 발화했는지를 파악해 적절한 응답과 시나리오를 이어가는 기반이다. 예를 들어 “주문을 취소하고 싶어요”라는 문장은 cancel_order라는 의도로 분류되어야 하며, “배송 상태 알려줘”는 track_delivery 의도로 해석되어야 한다. 많은 기업이 챗봇을 구축할 때, 초기에 기본적인 의도 분류 모델을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이 모델은 소량의 샘플 데이터(예: 의도별 10~30개 문장)로 학습되며, 특정 키워드 기반 분류에 의존한다. 그러나 초기 모델은 실전에서 쉽게 한계를 드러낸다. 실제 사용자는 챗봇에 다양한 구어체, 문..

    2025.07.07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